JPA (3)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전통적인 Spring의 Transaction과 JPA의 OSIV 전략 오늘은 Spring의 전통적인 Transaction 처리의 과정과 JPA의 OSIV전략에 대해 이해해보는 포스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스프링을 사용해보신 분이라면 @Transactional이라는 어노테이션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Transaction이란 어떠한 일을 처리하는 단위를 말합니다. 가령 저희가 "6번 게시글을 수정한다"라는 로직을 수행하려면 1. "6번 게시글을 가져온다" 2. "6번 게시글을 수정한다" 3. "수정된 6번 게시글을 DB에 commit 한다" 이렇게 하나의 로직의 처리 묶음을 하나의 Transaction이라 합니다. 그러면 Spring에서는 Transaction 처리를 어떤 순서로 진행할까요? 전통적인 Transaction 처리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저희가 Spring Applic.. [Spring/JPA] 영속성 컨텍스트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Data JPA의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속성 컨텍스트란? 영속성(persistency)이란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영속성 컨텍스트란 직역하자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환경 정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JPA는 객체지향 언어인 JAVA와 Database 사이의 패러다임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입된 규약입니다. 해당 내용을 기억하면서 본 포스팅을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에 저희가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여 웹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저희는 database에서 특정 id값을 갖는 데이터를 수정해달라는 요청을 받으면, database에.. [SpringBoot] 블로그 프로젝트 #2 JPA 설정 및 Entity 생성 저번 포스팅에 https://chanho0912.tistory.com/23 [SpringBoot] 블로그 프로젝트 #1 JSP 설정 본 포스팅은 https://chanho0912.tistory.com/19?category=866707 [SpringBoot] 블로그 프로젝트 #0 Github 연동하기 본 포스팅은 https://chanho0912.tistory.com/18 [SpringBoot] SpringBoot와 Mysql 연동 기본.. chanho0912.tistory.com JSP 설정을 마쳤습니다. 이번에는 JPA 기본 설정 및 Entity class를 한번 작성해볼게요! 우선 이번 포스팅에 필요한 JPA dependency를 추가해주겠습니다. build.gradle buildscript{ ext.. 이전 1 다음